Logicality(논리성)
초기투자심사역은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논리적으로 설득할 줄 알아야합니다. “왜” 투자해야하는지, “왜” 투자하면 안되는지 - 초기투자심사역은 끊임없이 “왜”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마주하기 때문입니다. 특히, 투자 후 사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“왜” 하고 하지말아야 하는지 창업팀을 설득하는 과정에서 초기투자심사역의 논리성은 그 빛을 발할 것입니다.
Comprehension(이해력)
매일 새로운 기술과 변화에 대하여 논해야하는 초기투자심사역에게는 높은 이해력이 필요합니다. 특히 그 누구보다도 빠르게 산업 트렌드를 인지하여 좋은 기업을 발굴하고 투자 기회를 확보해야하는 초기투자심사역은 높은 이해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빠르고 깊게 이해하여 그 옥석을 가릴 수 있어야 합니다.
Relationship Building/Sociality(관계형성/사교성)
초기 투자는 ‘관계’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 좋은 창업자를 알아볼 기회, 좋은 창업자를 소개받을 기회를 확보하기 위하여 초기투자심사역은 다양한 재능과 성격을 가진 사람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할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. 특히 투자 후 창업자로부터 신뢰를 얻고 그와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 또한 초기투자심사역이 힘써야할 덕목입니다.
Ownership(책임감)
초기투자심사역은 투자 기업 관리에 대한 전적인 책임과 권한을 가집니다. 따라서 투자 기업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그 필요사항 해결에 적극적으로 임하시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.
Data-driven Decision Making(근거 기반 결정)
초기투자심사역의 업무는 결정의 연속입니다. 끊임없이 질문하고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속에서 근거를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빠르게 의사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은 필수적입니다.
Tenacity(끈기)
초기투자심사역은 끊임없이 거절을 마주하게 됩니다. 따라서 거절을 실패로 받아들이는 대신, 끊임없는 노력과 설득을 통해 결국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끈기가 필요합니다.
Domain Expertise(분야 전문성)